728x90
반응형
SMALL
💼 노동소득분배율이란?
나라에서 벌어들인 소득 중 ‘노동’에게 돌아간 몫은 얼마나 될까?
✅ 쉽게 말하면?
나라 전체가 1년 동안 벌어들인 돈(=국민소득)이 있어요.
그 돈은 누구에게 돌아갈까요?
- 일을 한 **근로자(가계)**는 **급여(피용자보수)**로
- 자본을 투자한 기업이나 자산가는 **영업이익(영업잉여)**으로
분배됩니다.
여기서!
**근로자에게 돌아간 돈(급여)**이 전체 소득에서 얼마나 차지하는지를 나타낸 것이
바로 노동소득분배율이에요.
📐 계산식은?
노동소득분배율(%) = 피용자보수 / (피용자보수 + 영업잉여) × 100
- 피용자보수: 급여, 상여금, 연금 등 일한 대가
- 영업잉여: 이자, 임대료, 배당금 등 자본의 대가
💡 왜 중요할까요?
이유설명
분배 구조를 보여줌 | 노동과 자본 중 누구에게 소득이 더 많이 돌아가고 있는지 알 수 있어요. |
정책 방향 참고 | 노동소득분배율이 낮다면, ‘소득 불균형’ 문제를 시사할 수 있어요. |
노동중심 경제 판단 | 노동 중심의 경제인지, 자본 중심의 경제인지 파악하는 지표가 됩니다. |
📊 예를 들어 볼게요
- 국민소득 1,000 중
- 피용자보수가 600
- 영업잉여가 400이라면?
👉 노동소득분배율 = 600 / (600+400) × 100 = 60%
즉, 나라 전체가 벌어들인 소득 중 60%는 일한 사람들 몫, 나머지 40%는 자본이나 자산가 몫이라는 뜻입니다.
📝 알아두면 좋은 포인트
- 노동소득분배율이 높다 👉 상대적으로 노동자 몫이 많다는 뜻
- 노동집약적 산업이 많거나 임금이 높을수록 이 비율도 높아져요
-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과도 관련이 많습니다
🔍 연관 용어
- 피용자보수: 노동자가 받는 급여
- 영업잉여: 자본가·기업의 이익
- 소득주도성장: 임금 상승으로 소비를 늘려 경제성장을 유도하는 정책
📌 정리하자면!
노동소득분배율은 한 나라가 버는 돈 중 노동자에게 돌아간 몫이 얼마냐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.
경제가 누구에게 더 유리하게 흘러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‘분배의 체온계’라고 할 수 있어요!
728x90
반응형
LIST
'경제 상식 한 입, 하루 한 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녹색기후기금(GCF)이란? (4) | 2025.07.17 |
---|---|
녹색GDP란? (2) | 2025.07.16 |
노동생산성이란? (0) | 2025.07.14 |
내부자금이란? (4) | 2025.07.12 |
‘내부등급법’이 뭐예요? (0) | 2025.07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