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 상식 한 입, 하루 한 개

녹색GDP란?

홀킷 2025. 7. 16. 10:11
728x90
반응형
SMALL

🌏 녹색GDP란?

"환경도 경제처럼 숫자로 따져볼 수 있을까?"
녹색GDP는 바로 이 질문에서 출발합니다.


✅ 기존 GDP의 한계부터 살펴볼까요?

GDP는 한 나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총합이에요.
즉, 얼마나 많이 만들고 팔았는지를 기준으로 경제 규모를 따지죠.

하지만 문제는...

🌪️ 환경이 망가져도 GDP는 올라갈 수 있다는 사실!

예를 들어:

  • 공장이 많이 돌아가면 생산량이 증가 → GDP는 상승
  • 하지만 그 과정에서 대기오염, 물오염, 산림파괴가 생겨도 → GDP에는 마이너스 영향 없음

즉, 환경 피해는 계산에 안 들어갑니다.


💡 그래서 나온 개념, "녹색GDP"

녹색GDP = 기존 GDP - 환경오염, 자원고갈 등 환경 손실비용

이렇게 하면, 단순한 ‘경제 성장’이 아니라
**‘지속 가능한 성장’**을 평가할 수 있게 되는 거죠.


📘 예를 들어 볼게요

구분내용
기존 GDP 자동차 공장이 더 많은 차를 만들고 팔면 GDP 상승
문제점 공장 굴뚝에서 나오는 대기오염은 GDP에 반영 안 됨
녹색GDP 자동차를 만들면서 발생한 탄소배출 비용, 폐기물 처리비용 등을 차감하여 계산
 

📊 왜 중요할까요?

이유설명
경제의 진짜 모습 파악 환경을 고려한 ‘순수익’을 보여줍니다
지속가능성 평가 다음 세대를 위한 자원 보존까지 반영된 수치
정책 수립의 기준 환경 보호에 투자하는 것이 ‘낭비’가 아니라는 증거를 제공합니다
 

🌍 세계적으로는?

  •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논의
  • 2012년 UN은 **환경경제통합계정(SEEA)**을 국제표준으로 채택
  • 각국에 이 통계를 만들도록 권고

🇰🇷 우리나라는?

  • 통계청 주도로 2014~2022년까지 SEEA 기준에 맞춰 환경경제통계 개발 진행
  • 이 통계가 완성되면, 우리나라의 녹색GDP도 계산 가능해져요!

📌 정리하자면

녹색GDP는 "환경을 생각한 진짜 경제지표"입니다.
더 많이 만들고, 더 많이 쓰는 것만이 성장일까요?
환경을 지키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것이 앞으로의 목표입니다.


🔍 연관 키워드

  • GDP: 국내총생산
  • 지속가능한 발전
  • 환경경제통합계정(SEEA)
  • 탄소배출권, 기후경제학

📆 내일의 경제용어도 기대해주세요!
궁금하신 주제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. 😊

728x90
반응형
LIST

'경제 상식 한 입, 하루 한 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단기금융시장, 쉽게 설명해볼게요!  (4) 2025.07.19
녹색기후기금(GCF)이란?  (4) 2025.07.17
노동소득분배율이란?  (1) 2025.07.15
노동생산성이란?  (0) 2025.07.14
내부자금이란?  (4) 2025.07.1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