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 상식 한 입, 하루 한 개

내부자금이란?

홀킷 2025. 7. 12. 15:57
728x90
반응형
SMALL

💰 내부자금이란?

기업이 자기 주머니에서 꺼내 쓰는 돈!


🔍 쉽게 말해보면...

기업이 사업을 하려면 투자자금이 필요하겠죠?
그 자금은 두 가지 경로로 마련할 수 있어요:

  1. 자기 안에서 조달하는 돈 → 내부자금
  2. 밖에서 끌어오는 돈 → 외부자금

오늘은 1번, ‘내부자금’에 대해 살펴볼게요!


✅ 내부자금의 대표적인 두 가지 종류

구분설명
내부유보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 중 배당하지 않고 쌓아둔 돈
(= 이익잉여금 등)
감가상각충당금 기계, 설비 등 노후화될 자산을 미리 교체할 준비금으로 쌓은 돈
 

💡 예시
회사에서 새 기계를 사기 위해 따로 돈을 조금씩 모아두는 것 → 감가상각충당금!


💡 내부자금의 장점은?

  • 이자도, 배당도 안 줘도 돼요!
    외부에서 빌리면 이자 줘야 하고, 주식 팔면 배당 줘야 하잖아요?
    내부자금은 그럴 필요가 없어 비용이 들지 않는 ‘착한 자금’입니다.
  • 의사결정이 빠르고 유연해요
    외부 승인을 받거나 복잡한 절차 없이 즉시 활용 가능하니까요.

📉 그럼 언제 내부자금 비중이 높아질까요?

경기가 안 좋고 투자가 줄어들 때
외부에서 돈을 빌릴 필요가 적어지면서 내부자금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.


📌 정리하면!

내부자금이란, 기업이 외부 도움 없이 스스로 마련한 자금을 말합니다.

대표적인 예로는

  • 내부유보 (벌어서 남긴 돈)
  • 감가상각충당금 (기계 교체 대비 준비금)

이자나 배당을 안 줘도 되는 장점 덕분에
기업들이 가장 선호하는 자금조달 방식 중 하나예요!

728x90
반응형
LIST

'경제 상식 한 입, 하루 한 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노동소득분배율이란?  (1) 2025.07.15
노동생산성이란?  (0) 2025.07.14
‘내부등급법’이 뭐예요?  (0) 2025.07.11
내국신용장, 이게 뭐지?  (1) 2025.07.08
“납부자자동이체”란?  (2) 2025.07.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