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SMALL
💰 기초가격이 뭐예요?
– 생산자가 실제로 받는 돈을 말해요
🧾 우리가 물건을 살 때, 어디까지가 생산자의 몫일까요?
마트에서 우유 한 병을 1,000원에 샀다고 해볼게요.
그런데 이 1,000원이 전부 우유를 만든 농가나 회사의 수입일까요?
그건 아니에요.
이 1,000원에는
- 유통 마진 (예: 마트 수익)
- 세금
- 운송비
- 심지어 정부 보조금의 효과까지
여러 요소가 포함돼 있어요.
그래서 실제로 우유를 만든 사람이 손에 쥐는 돈은 훨씬 적죠.
이렇게 실제 생산자가 갖게 되는 가격을
**‘기초가격(Basic Price)’**이라고 해요.
🧮 예시로 쉽게 이해해요!
항목금액 (원)
소비자가 마트에서 낸 가격 (구매자가격) | 1,000원 |
유통마진 (마트 등) | -200원 |
생산자가격 (제조사 몫) | 800원 |
생산물세 (예: 부가가치세) | -100원 |
정부 보조금 (예: 축산 농가 지원) | +50원 |
기초가격 | 750원 |
👉 즉, 우유 한 병 1,000원 중 생산자가 실제로 받는 건 750원이라는 의미예요!
📊 왜 기초가격이 중요할까요?
경제에서 중요한 수치인 **GDP(국내총생산)**를 계산할 때,
생산자가 실제로 생산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몫을 기준으로 잡아야
정확한 경제 성과를 볼 수 있어요.
만약 세금이나 유통마진을 포함해 계산하면
실제 생산성과는 다른 잘못된 결과가 나올 수 있거든요.
✅ 정리하면!
- 기초가격은 ‘생산자에게 돌아가는 실제 수익’이에요.
- 세금은 빼고, 정부 보조금은 더해서 계산해요.
- GDP를 계산할 때 왜곡을 줄이기 위해 기준으로 사용돼요.
경제뉴스나 통계를 볼 때
“이게 정말 생산자들이 벌어들인 성과일까?” 궁금할 때가 있죠.
그럴 때 이 ‘기초가격’ 개념을 알고 있으면
좀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답니다 😊
728x90
반응형
LIST
'경제 상식 한 입, 하루 한 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타기본자본(AT1)이란? (2) | 2025.06.20 |
---|---|
기축통화란 무엇일까요? (4) | 2025.06.19 |
기준환율, 쉽게 알아보기 (11) | 2025.06.17 |
기준 순환일이란? (2) | 2025.06.16 |
기준금리란? (1) | 2025.06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