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 상식 한 입, 하루 한 개

기준금리란?

홀킷 2025. 6. 13. 11:15
728x90
반응형
SMALL

📌 기준금리란?

우리가 쓰는 대출이자부터 예금이자까지 좌우하는 경제의 기준점!


💡 기준금리란?

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결정하는 공식적인 정책금리
이 금리가 변하면 시중의 모든 금리도 따라 움직이게 됩니다.

✅ 기준금리는

  • 한국은행이 금융기관에 자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기준 금리
  • 국내 금리 정책의 출발점이자
  • 대출금리, 예금금리, 채권금리 등 시장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지표입니다.

📜 기준금리의 변화 과정

🔁 과거: 콜금리 목표제

  • 한국은행은 과거엔 ‘익일물 콜금리 목표’를 정책금리로 사용했어요.
  • 콜금리란?
  • 금융기관끼리 하루짜리 초단기 자금을 거래할 때 쓰는 금리

하지만...

콜금리가 시장 상황과 상관없이 고정되면서
실제 금리 기능이 약해지고 단기자금시장 왜곡이 생기기 시작했어요.


✅ 지금: 기준금리 체제로 변경 (2008년부터)

한국은행은

  • 정책금리를 ‘기준금리’로 명확히 정리하고
  • RP(환매조건부채권) 거래를 중심으로 자금 조절

이렇게 함으로써
단기·중장기 금리로의 정책 파급효과가 더 자연스럽게 작동
시장금리 형성 기능도 회복시킬 수 있게 됐습니다.


🔗 기준금리와 우리의 생활은?

변화우리에게 미치는 영향
기준금리 인상 대출이자 ↑ / 예금이자 ↑ / 소비·투자 ↓
기준금리 인하 대출이자 ↓ / 예금이자 ↓ / 소비·투자 ↑
 

📌 기준금리는 경기 부양 또는 억제를 위한 핵심 수단이에요.

  • 경기가 과열되면 → 기준금리 ↑
  • 경기가 침체되면 → 기준금리 ↓

🧭 기준금리와 RP(환매조건부채권) 거래

기준금리는

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**RP(환매조건부채권)**를 거래할 때 적용하는 기준 금리입니다.

  • RP 거래란?
  • “채권을 사고 일정 시점에 다시 사주는 조건으로 자금을 빌려주는 방식”

즉,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통해
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거나 조절하는 역할도 수행합니다.


📌 요약 정리

항목내용
정의 한국은행이 결정하는 정책금리
적용 대상 금융기관 간 자금거래, RP 거래 등
도입 시기 2008년부터 ‘기준금리’ 체제로 전환
시장 영향 대출·예금·채권 등 전체 금리에 파급
결정 기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(연 8회 회의)
 

💬 “기준금리가 오른다”는 뉴스가 보이면,
👉 대출금리, 예적금 이자, 전세대출 등 우리 생활 전반에 영향이 생긴다는 뜻!

 
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