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 상식 한 입, 하루 한 개

담보인정비율 (LTV)

홀킷 2025. 7. 29. 11:29
728x90
반응형
SMALL

💡 오늘의 경제용어: 담보인정비율 (LTV)

**LTV(Loan To Value)**란
👉 *“내 집을 담보로 돈을 얼마나 빌릴 수 있느냐”*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.


🔎 쉽게 말해볼게요!

“5억짜리 아파트가 있으면, 금융기관은 그 집을 담보로 대출을 얼마나 해줄까?”

이때 **담보인정비율(LTV)**이 **70%**라면
→ 최대 3억 5천만 원까지 빌릴 수 있다는 뜻입니다.

📌 공식

ini
복사편집
LTV = (주택담보대출 + 선순위채권 + 임차보증금 등) ÷ 담보가치 × 100

🏠 ‘담보가치’는 어떻게 정해질까?

금융기관은 아래 기준 중 하나를 택해 적용합니다:

  1. 국세청 기준시가
  2. 감정평가액 (감정원 등 전문기관)
  3. KB부동산 시세
  4. 한국감정원의 층별·호별 가격조정 지수

→ 이 중 은행이 자율적으로 선택해 적용합니다.


📌 왜 중요한가요?

  • 과거엔 자율시행했지만,
    가계부채 관리와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해 감독 규제로 도입되었습니다.
  • 요즘은 지역, 은행, 대출자 조건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.
  • 특히 무리한 대출을 막기 위한 거시건전성 정책 수단으로 활용돼요.

📌 LTV 말고도 같이 보는 지표?

✔️ DTI (총부채상환비율)
: 소득 대비 얼마나 대출을 갚을 수 있는지 본다.

✔️ DSR 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
: 신용대출·마이너스통장까지 모두 포함해서 갚을 능력을 평가한다.


✅ 한눈에 정리

구분설명
LTV 담보가치 대비 대출금 비율
중요한 이유 대출 한도 산정의 기본, 가계부채 조절 수단
주요 적용 사례 주택담보대출
함께 보는 지표 DTI, DSR
728x90
반응형
LIST